- 지자체 및 공공기관, 일반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정보 기반 통합 플랫폼
- 도로, 상하수, 지하시설물을 포함한 각종 시설물 관리 및 조회
- 공간정보기반 분석 및 각종 가시화 기능 제공
- 텍스트 기반 업무 데이터를 주제도로 만들어 주는 업무지도 기능 제공
- 오픈소스 기반 플랫폼으로 모듈 형태의 업무를 계속적으로 추가 가능한 유연성 및 확장성 확보
- 오픈 소스(GeoServer) 기반
- Open Layers
- OGC 표준 서비스 지원
- 지원 DBMS : Oracle, PostgreSQL
1. Basic 기능
- 지도 기본기능, 배경지도, 주제도, 공간검색, 레이어 설정, 출력/저장, 항공사진 조회
2. Standard 기능
- 도로/상하수 시설물 관리, 웹기반 시설물 편집, 업무지도, 각종 개인화 기능, 공간분석, 공유(업무지도, 공간분석 등) 및 협업, 확장 관리자 기능
3. Extension 기능
- 공간정보신청, 세외수입 업무, 인구통계기능, 국공유재산 관리, 인허가 업무, 지방세 업무
- WAS 서버
- WEB 서버
- DB 서버
- GIS S/W : GeoServer
- WAS : Tomcat / 기타 상용 WAS 가능(예: JEUS)
- WEB : Apache / 기타 상용 WAS 가능(예: WebToB)
- DB : Oracle, PostgreSQL
- 오픈 소스 기반 공간데이터 편집(웹 기반)
- 엑셀, CSV, SHP, 좌표기반 텍스트 파일을 공간데이터 변환 기술
- 업무지도 공간데이터 베이스 등록 기능 - 공간 빅데이터 생성 기술
- 모든 공간정보 대상 공간분석 기술(공간 및 속성 기반)
- 개인업무지도, 공간분석 결과, 메모/사진, 사용자 정의 주제도 공유 기능
- 웹 기반 시설물(레이어) 상세 설정 기능
GS 품질 인증 1등급
- 오픈 소스 기반으로 확장성 및 유지보수성 우수
- 전국 40여개 지자체 공간정보시스템으로 적용되어 안정성과 성능 인증 받음
- 플랫폼 및 모듈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지자체 및 공공기관 업무 확장이 용이
- 웹 기반 관리자시스템을 통한 시스템 내 모든 설정 정보 세팅 가능
- 조달청 벤처나라 솔루션 등록
- 2015년 : 광주시, 광명시
- 2016년 : 성남시, 용인시, 밀양시, 양평군
- 2017년 : 김포시, 의정부시, 하남시, 천안시
- 2018년 : 원주시, 전주시
- 2019년 : 창원시, 이천시, 남양주시, 순천시
- 2020년 : 포항시, 통영시, 광양시, 장성군
- 2021년 : 고양시, 안산시, 경주시, 태백시
- 2022년 : 안성시, 인제군, 평창군, 연수구, 하동군, 전북도청, 영남대, 김포시, 구리시
- 2023년 : 용인시, 삼척시, 군표시, 시흥시, 남해군, 밀양시, 수원시
- 2024년 : 성남시
공간정보, 시설물 관리, 업무지도, 공간분석, 오픈소스
항상 판매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