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광역단위 지자체 중심으로 2,000여대 측정기 설치,
관제 플랫폼을 개발하고 '18.2월 부터 서비스를 개시.
현재 KT 자체 운영,사업까지 포함하여 3,000여대 운영 중
(22개 지자체 대상 서비스 제공)
(1) KT 통신인프라, 지자체 교통인프라 등 시설 대상 공기질 측정기 설계 및 설치
(2) 지자체, 다중이용시설 대상 실시간 공기질 측정, 관제 및 분석 (국가관측망 연계)
(3) 빅데이터, AI 및 시뮬레이션 기술 기반 환경 정보 분석 및 예측대응
(4) 어린이지, 학교 및 경로당 등 취약계층 밀집 시설 대상 공기 청정 서비스 제공
(5) 공장, 산업단지 대상 Particle, VOCs 등 종합환경 모니터링 및 분석 서비스 제공
(6) 시민 등 일반인 대상 실시간 공기질 현황 표출 서비스 제공
(7) Worst Top 10 우선관리지역 대상 도로청소차 최적 경로 서비스 제공
환경 에너지 수자원
(1) KT 통신인프라, 지자체 교통인프라 등 시설 대상 공기질 측정기 설계 및 설치
(2) 지자체, 다중이용시설 대상 실시간 공기질 측정, 관제 및 분석 (국가관측망 연계)
(3) 빅데이터, AI 및 시뮬레이션 기술 기반 환경 정보 분석 및 예측대응
(4) 어린이지, 학교 및 경로당 등 취약계층 밀집 시설 대상 공기 청정 서비스 제공
(5) 공장, 산업단지 대상 Particle, VOCs 등 종합환경 모니터링 및 분석 서비스 제공
(6) 시민 등 일반인 대상 실시간 공기질 현황 표출 서비스 제공
(7) Worst Top 10 우선관리지역 대상 도로청소차 최적 경로 서비스 제공
확장성, 개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