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어르신 안전관리 솔루션
(주)밀
[유형 : 보건·의료·복지 ]
주소
서울시 금천구 벚꽃로244 벽산디지털밸리5차 309.310호
주사업
IOT, 취약어르신 안전관리 솔루션, 독거어르신 건강안전관리 솔루션
WEBSITE
www.milliot.co.kr
TEL
02-2082-4313
FAX
02-2082-4315
회사소개
(주)밀은 엣지컴퓨팅, 머신러닝, 매쉬네트워킹, P2P서비스, IOT 기기간 보안인증등을 기술기반으로 하는 통합솔루션을 융합하여, 급격한 시장의 변화와 기술진화 속도에 맞는 유연성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는 IOT 개발전문 솔루션 회사입니다.
솔루션담당자
이사 이광호
담당자연락처
02-2082-4313
담당자이메일
abner33@mills.co.kr

스마트헬스케어 서비스
솔루션 소개

IoT를 활용한 돌봄 서비스로 대상자의 건강안전관리를 위해 움직임 감지 및 댁내의 온도, 습도 조도, Co2, TVOC를 실시간 측정하여
생활환경을 살 필수 있도록 구성되어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합리적인 복지정책 데이터로 활용되고 있으며 긴급 상황에서도 돌봄 공백을
최소화하는 효과적인 솔루션이며 개인정보나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엣지 컴퓨팅 IoT, 기기의 전원을 연결하는 즉시
모바일 폰 또는 스마트기기 등 종류에 무관하게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한 솔루션 입니다.

기술 구성

제공된 IoT 기기는 대상자 댁내에서 전원이 연결되는 순간부터 생활 지원사와 수행기관, 거점기관과 또 시군구 도청에서 편리하고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상황 정보가 제공됩니다. 생활지원사는 간단한 교육으로 자신이 익숙하게 사용하는 휴대폰을 통해서 직관적인
내용으로 어르신댁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의 관리자나 전담사회복지사의 자리에서도 관내대상자의 상태 및
경고 정보를 제공해서 간단한 확인만으로도 대상자의 안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주요 기능

제공되는 IoT 기기에는 총 여섯가지 센서가 내장되어 있으며 동작, 조도, 온도, 습도, Co2, TVOC 센서가 대상자 생활환경을
실시간 모니터링 합니다. IoT 기기가 설치되면 건강 안전관리 규칙 중 가장 중요한 어르신 움직임이 감지 안 되는 시간에 따라서
경보가 발생합니다. 대상 어르신의 최종 움직임이 8시간 이내는 정상, 8시간에서 12시간 이내 움직임이 없으면 주의,
12시간에서 24시간 이내 움직임이 없으면 경보, 24시간 이상 움직임이 없으면 위험으로 표시됩니다. 온도센서는 실내온도를
실시간 측정하여 여름철 혹서기, 겨울철 한파시 대상자 파악에 활용하고 습도센서는 댁내 실내습도를 조도센서는 댁내 자연채광
환경과 전등의 사용여부를 파악합니다. Co2, TVOC 센서를 통해서는 냄새로 식사여부 또는 실내 공기질과 화재감지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H/W 구성
S/W 구성
솔루션에 적용된 신기술

IoT

솔루션 인증내역

KC인증, ICT 품질인증, 소프트웨어 품질인증

특징 및 장점

1) 통합장치(센서와 통신모듈의 통합)으로 전원만 연결하면 작동되는 형태로 간단한 교육 만으로도 누구나 장치의 설치 및 운영, 이관 및 철거 가능
2) 가혹한 환경에서도 탐지 및 운영 오류가 최소화 되도록 구현하여 오탐지 방지 기술적용.
3) IoT장치간의 보안인증 기술을 통한 보안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확보함
4) 별도의 시스템통합이 필요없어서 현장 구성이 매우 간편하고 설치 운영시 추가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음.
5) 도서산간지역도 통신품질이 보장되는 LTE통신장치 내장 및 24개월 요금 포함
6) 설치 즉시 사용 가능하면서 별도 구축비용 없이 생활관리사, 복지사, 서비스관리자, 거점복지관, 시군구 관계자가 원하는 정보를 실시간 제공함

구축사례

[2017년 서울시 25개구 25개 복지관], [2018년 ~ 2024년 현재 서울시 25개구 70개 복지관]

종로노인종합복지관, 약수노인종합복지관, 유락종합사회복지관, 중림종합사회복지관, 시립용산노인종합복지관, 갈월종합사회복지관,
효창종합사회복지관, 청파노인복지관, 용산재가노인지원센터, 성동노인종합복지관, 사회적협동조합 성동돌봄, 늘푸른돌봄센터,
광진노인종합복지관, 동대문노인종합복지관, 은천재가노인지원센터, 구립신내노인종합복지관, 시립중랑노인종합복지관,
면목종합사회복지관, 여명재가노인지원센터, 정릉종합사회복지관, 길음종합사회복지관, 생명의전화종합사회복지관, 성북노인종합복지관,
시립강북노인종합복지관, 꿈의숲종합사회복지관, 강북재가노인지원센터, 번오마을종합사회복지관, 도봉노인종합복지관, 한결재가돌봄센터,
도봉재가노인지원센터, 노원남부지역자활센터, 노원노인종합복지관, 노원구어르신돌봄지원센터, 은평어르신돌봄통합지원센터,
은평노인종합복지관, 서대문노인종합복지관, 효림재가노인지원센터, 마포노인복지센터, 마포어르신돌봄통합센터, 양천어르신종합복지관,
서서울어르신복지관, 목동어르신복지관, 강서노인종합복지관, 봉제산노인복지센터, 참사랑재가노인지원센터, 구로어르신돌봄통합센터,
구로노인종합복지관, 궁동종합사회복지관, 금천노인종합복지관, 금천한내어르신복지센터, 금천호암노인종합복지관, 영등포노인복지센터,
영등포종합사회복지관, 신길종합사회복지관, 영등포노인종합복지관, 동작노인종합복지관, 사당어르신종합복지관, 신림종합사회복지관,
성민종합사회복지관, 사회적협동조합 우리사이, 관악노인종합복지관, 서초어르신행복E음센터, 방배노인종합복지관, 강남노인통합지원센터,
송파노인종합복지관, 송파실벗뜨락노인복지관, 송파노인복지센터, 강동노인종합복지관, 성가정노인종합복지관, 성내종합사회복지관

주요 키워드

IOT, 취약계층, 독거어르신, 건강안전관리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